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력난이냐, 안전성이냐…기로에 선 월성 원전 1호기
지역 주민의 반대 여론이 극심하지만 정부는 경북 경주시 소재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재가동을 결정했다. 심각한 전력난 때문이다.

5일 지식경제부 고위 당국자는 “월성 원전 1호기를 가동하면 약 70만㎾의 전력을 추가 생산할 수 있다”면서 “국내 전력 예비율을 1.0%포인트 가량 높일 수 있는 만만찮은 전력량”이라고 설명했다.

지경부는 올 여름 최대 전력 수요를 작년보다 7.0% 늘어난 7477만㎾로 전망하고 있다. 금년 전력 공급 능력은 최대 7897만㎾로 예상된다. 전년 대비 전력 공급량 증가율은 수요 증가폭에 못미치는 6.2%다. 작년보다 전력 상황이 훨씬 빠듯하다는 의미다. 금년 여름 전력 예비율(최대 공급량에서 수요량을 뺀 수치를 나타내는 비율)은 5.6%, 420만㎾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보통 전력 예비력이 400만㎾ 아래로 내려가면 비상 사태로 본다. 대형 전력시설이 한 곳이라도 갑작스런 사고로 멈추면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수 있는 아슬아슬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전력 수급이 빠듯하면 전기 품질도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올해 여름 전력 예비율 420만㎾도 정부가 예상한 수치일 뿐이다. 예상보다 무더위가 심하고 산업계 전력 수요가 더 늘어난다면 더 심각한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정부가 비난 여론을 무릅쓰고 월성 원전 1호기를 17일부터 재가동하기로 결정한 배경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교육과학기술부 제안을 받아들여 월성 원전 1호기에 수소 폭발 방지 설비 확충을 오는 14일까지 완료할 예정”이라면서 오는 17일 재가동을 위한 준비는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대신 정부는 월성 원전 1호기 수명을 추가로 연장할 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내년 말로 미뤘다.

하지만 월성 원전 1호기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란은 쉽사리 가라앉지는 않을 전망이다. 지난 3월 대지진으로 인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국내 원전 안전에 대한 시각을 뒤흔들었다. 원전시설 노후화가 폭파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드러나면서 국내 노후 원전에 대한 불안감은 증폭됐다. 가동 연한을 늘린 고리 원전에서 연쇄적으로 정지 사고가 발생한 것도 지역 주민의 우려를 더 키웠다.

월성 1호기는 1983년 4월 상업 운전을 시작한 국내에서 2번째로 오래된 원전이다. 설계 연한인 내년 말까지 월성 원전 1호기를 재가동할 뿐이라고 정부는 선을 그었지만, 국내 전력 상황을 감안할 때 수명 연장에 무게를 둔 조치라 볼 수 있다. 이미 3000억원 넘는 돈이 노후시설 교체에 투입됐다. 1년 남짓 더 쓰자고 투자하기엔 너무 많다. 현재 경주시의회는 물론 여러 지역단체, 시민단체는 월성 원전 1호기를 아예 폐쇄해야한다며 시위를 벌이는 중이다. 이번 월성 1호기 재가동 결정으로 월성 1호기 수명 연장에 대한 논란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현숙 기자 @oreilleneuve>
newea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