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치솟는 물가 어디까지…>유가+농축산+서비스 트리플 급등…하반기가 더 무섭다
7월 소비자물가 4.7% 상승 의미·배경

외부환경·계절적 요인에

인플레이션 등 구조적 결합

근원물가지수도 3.8% 상승

유가 하락 등 한가지 호재로

상승흐름세 꺾기 힘들 듯


물가공포 시대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20.6(2005년 100)을 기록, 전년 동월 대비 4.7%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외형상으로는 지난 3월과 ‘동률’을 기록했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내용’은 더 안 좋다.

3월에는 급등하는 신선채소값이 위기의 주범이었다면, 7월에는 ‘국제유가 상승+농축산물가격 상승+서비스가격 상승’이라는 3박자를 골고루 갖췄기 때문이다.

물가당국은 농축수산물이 출하되는 9월이면 물가가 하락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망이지만 최근 집중호우에 따른 작황 저조와 국제유가 불안 등이 맞물릴 경우 상황을 예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7월 물가상승은 한두 가지의 계절적ㆍ일시적 요인 때문이라기보다는 외부적 환경과 계절적 요인 그리고 여기서 비롯된 인플레이션 심리 확산 등이 결합된 구조적인 요인이 더욱 강화됐다. 물가상승의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고 얘기할 수 있다. 구조화한 인플레이션은 국제유가 하락이나 신선채소가격의 하락 같은 한두 가지의 호재가 발생한다 해도 물가상승의 흐름을 꺾기 어렵다는 점에서 더 ‘악성’이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의 기여도를 보면 전체 상승분 4.75%포인트 중 ▷농축수산물 0.99%포인트 ▷공업제품 1.99%포인트 ▷서비스 1.77%포인트다.

이에 반해 지난 3월에는 전체 상승분 4.70%포인트 중 ▷농축수산물 1.32%포인트 ▷공업제품 1.84%포인트 ▷서비스 1.47%포인트였다.

즉, 농축수산물의 비중은 줄어드는 대신 공업제품과 서비스에서 발생한 물가상승의 효과가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는 설명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난 3월에 비해 농축수산물의 영향이 줄어든 대신 서비스와 가공식품의 물가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꿔 얘기하면 농축수산물과 석유류에서 시작한 물가불안이 상품, 서비스 전반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8% 상승하며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근원물가지수는 올 1월 2.6%를 기록한 뒤 ▷2월 3.1% ▷4월 3.2% ▷6월 3.7%로 꾸준히 상승했다.

이로써 근원물가 상승률은 2009년 5월 3.9% 이후 2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년여 만에 최악의 물가대란이 닥친 셈이다.

서비스지수 역시 ▷올 1월 2.2%(전년 동월비) 상승에서 7월에는 3.0% 상승했으며, 자가주기비용포함지수 역시 올 1월 3.9%(전년 동월비)에서 7월에는 4.6%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경제 전반에 퍼져 있는 물가상승 기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더욱 우려되는 부분은 하반기에도 물가상승세가 안정국면으로 접어들지 낙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는 오는 9월이면 농축수산물이 출하되고, 지난해 가을 신선식품이 상승세를 보였던 통계상의 기저효과(비교대상 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그 결과값이 실제보다 왜곡되어 나타나게 되는 현상) 등을 감안하면 소비자물가지수는 한 풀 꺾일 것이라는 희망섞인 기대감을 내보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집중호우와 장마에 따라 농축수산물 작황을 예상하기가 쉽지 않고, 국제유가 불안과 공공요금발(發) 물가 충격 등 어려운 난제가 첩첩산중인 상황이다.

특히 지식경제부는 8월 1일부터 평균 4.9% 전기료 인상 방안을 발표했으며, 이미 시작된 하수도료, 버스료 등 지방 공공요금 연쇄 인상 등 물가를 자극할 만한 변수가 쌓여 있다.

이용재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올 8월까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대에서 등락하다가 9월 이후 하향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유가 수준에 따라 상황은 달라질 수 있지만 물가 충격을 최소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박지웅 기자/goahead@heraldcorp.com

집중호우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배추 무 상추 등 채소 값이 급등하고 있다. 1일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의 중간상인들이 채소 값 급등에 시름하면서 배추 값을 셈하고 있다.
김명섭 기자/msiron@heraldcorp.com

▶물가상승세, 공업제품ㆍ서비스로 확산


▶하반기 물가 더 겁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