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만리장성보다 높은 中방화벽
중동 발 ‘재스민 혁명’과 미국 발 ‘반(反)월가 시위’의 구심점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이트였다. 그러나 이 거대한 흐름을 고집스럽게 거부하는 나라가 있다. 쿠바와 북한처럼 언론의 자유가 극도로 제한된 곳도 아니다. 놀라운 경제성장으로 미국과 나란히 주요 2개국(G2) 반열에 올랐다고 자부하는 중국이다.

중국 인터넷정보국 등 보안 당국이 최근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시위와 관련 더욱 단속의 고비를 죄고 있다고 미 시사주간지 타임이 최근 보도했다. 온라인사이트 차단 및 검색어 금지는 물론 더욱 많은 해킹 전문가들을 고용해 개인의 이메일을 열어보는 등의 감시ㆍ감독 행위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타임은 “중국에서 개인 이메일과 우편물을 감시ㆍ감독하는 전문 요원만 수만 명에 이른다”고 전했다. 정부에 고용된 해커들은 개인이 발송한 이메일에서 정부가 ‘민감한 사항’으로 지정한 내용을 삭제하는가 하면 개인의 계정으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 이메일을 보내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타임 기자도 이메일을 해킹 당해 자신의 계정으로 롭상 상가이(43) 티베트 망명정부 신임 총리에 이메일이 발송되는 등의 피해를 봤다고 소개했다. 상가이 총리는 이것이 “달라이 라마의 이메일을 알아내려는 속셈인 것 같다”고 밝혔다.

이처럼 중국에서 활동하는 외국 언론인들은 빈번하게 해킹 피해를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월 세계 최대 보안업체 맥아피는 지난 5년 간 한국ㆍ미국ㆍ대만 같은 정부기관, IOC(국제올림픽위원회) 등 국제기구와 민간 기업을 포함해 72곳의 해킹 사례에 중국 당국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의 온라인 검열에 있어 가장 큰 문제로 누리꾼들은 기준의 ‘불확실성’을 꼽는다. 어느 날 갑자기 ‘재스민’이란 단어가 금지어로 지정되는가 하면 천안문 사태 기념일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날에는 “방금 상하이 도착”이란 간단한 메시지조차도 SNS 사이트에 올릴 수 없다.

정부에 의해 언론이나 TV 등이 엄격히 검열되는 중국에서 인터넷은 아직까지 비교적 자유로운 정보 교환의 장이 되고 있다. 지난 7월 중국 고속철 사고의 실상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알린 것도 언론이 아니라 중국판 트위터인 시나웨이보 등이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 당국은 시나웨이보 운영본부에 들러 관계자들에 ‘주의’를 준 것을 비롯해 온라인에서 ‘악의적인 종양’을 퍼뜨리는 행위에 대해 엄중히 경고하는 등 단속은 갈수록 강화되는 분위기다. 타임 기자는 “내 이름으로 발송된 이메일을 주의하라”는 말로 중국 당국의 이메일 검열을 꼬집으며 기사를 마무리했다.



유지현 기자/prodig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