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패기의 마흔, F세대> ②탄생: 보릿고개 너머 희망의 젖병 물고 자란 근-현대 경계인
 우리나라의 현재 연령별 인구를 유아에서 고령자 순으로 옆으로 누이면 오른쪽부터 크게 네 개의 봉우리가 등장한다. 첫번째 등장하는 봉우리가 바로 ‘베이비붐’ 세대다. 1953년 한국전쟁의 종전과 함께 55년부터 63년까지 출산율이 급격히 높아진 시기로 현재 전체인구의 15% 가까이를 차지하는 넓고 높은 봉우리다.

하지만 ‘베이비부머’에 뒤이어 곧바로 ‘더 높은 봉우리’가 자리잡고 있다. 1966년생부터 1974년생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최근 사회변동의 중심에 선 F세대(1966~74년생 최다 인구층)다. 세번째 봉우리는 1979∼1985에 태어난 베이비 부머의 자녀들로 ‘에코세대’이다. 이른바 ‘88만원세대’가 포함돼 있다. 넷째 봉우리는 F세대의 자녀들로 외동이 많아 높지는 않다.

지난해 통계청이 내놓은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F세대의 총 인구는 748만명으로 베이비붐 세대(695만명)보다 50만명 이상 많다. 태어날때 두 세대의 숫자는 엇비슷했지만 40세 전후의 F세대는 10여%, 50줄에 접어든 부머들은 20여% 사망했다.

학문적으로 ‘베이비붐’이란 아이 셋 이상을 낳는 시대가 상당기간 지속되는 때를 뜻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1955년부터 1974년까지의 20년이다. 다산(多産)시대의 긴 여정은 공유하지만 부머와 F세대의 성장배경과 여정은 사뭇 다르다.

우리의 출생통계가 1970년에 제대로된 틀을 갖췄기 때문에 F세대가 왜 많이 태어났는지에 대해 명확한 근거는 없다. 다만 당시 경제적 변화가 F세대 다출생의 한가지 원인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김용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은 이들을 ‘제2차 베이비붐 세대(68~74년생)’라고 규정하면서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빈곤의 늪에서 빠르게 벗어나면서 출생아수가 매년 80만명을 넘은 시기”라고 설명한다.

베이비붐 세대의 다출생이 종전에 대한 ‘정치사회적’ 안심감에 기반을 하고 있다면, F세대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앞으로삶이 더 나아질 것’이라는 ‘경제적 안심감’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의미다. 1962년 등장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1970년의 새마을운동으로 대변되는 대한민국 산업화의 태동기에 기대감을 안고 태어난 아이, 즉 보릿고개를 넘고 희망의 젖병을 물고 자란 세대들인 것이다. 허리띠를 졸라맨 근대, 민주주의를 정착한 현대의 경계인이다.

F세대는 베이비부머와 함께 현재 우리사회를 구성하는 기둥이다. 양 세대와 그 사이에 낀 1964,65년 생을 합하면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넘는 1600만명의 거대집단이 된다. 두개의 봉우리 즉 ‘쌍봉세대’로 통칭되는 이들은 전국 토지의 42%, 건물의 58%, 주식의 20%를 보유한 한국경제의 주도세력이다. F세대가 10살 전후이던 1970년 284달러에 불과하던 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해 2만591달러로 70배 이상 높아졌고 120위권이이던 국민소득 순위는 34위까지 높아졌다. 한국은 세계 무역규모 8위의 경제 대국이 됐다. F세대의 중심인 1970년생은 단일연령 가운데 최다인 90만명이 생존해 있다.

하지만 F세대의 의 80%이상은 집없이 전세, 월세, 사글세 생활을 하고 있고, 그러면서도 자녀를 위해 월평균 25만원 정도의 사교육비(초등학생 24.5만원, 중학생 25.5만원)를 쓰고 있다. 맞벌이가 당위로 다가온 첫 세대이기도 하다.

F 세대는 가장 큰 난관은 ‘노년’이다. 통계청의 ‘2010년 생명표’에 따르면 이들에겐 평균 38.24~45.82년의 인생이 남아있다.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는 2030년은 공교롭게도 대한민국의 인구가 5216만명으로 정점을 찍는 해다. 현재 73% 수준인 생산가능인구는 60% 선으로 줄어들고, 대한민국이 스위스 이탈리아 등과 함께 마이너스 경제성장에 접어들기 시작하는 해(UN분석)이기도 하다.

지난해 통계개발원은 ‘베이비붐세대의 현황.은퇴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베이비부머와 제2차 베이비부머(F세대), 에코세대의 세 인구집단이 65세에 이르는 시점인 2020년, 2030년, 2044년에 노인부양비는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과 이들 후세대에 대한 대책을 늦출 수 없는 이유이다. 나아가 F세대의 과거,현재,미래를 통해, 우리사회 목표,정치체제,국정마인드,민주주의 방식 등 총체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다.

<홍승완 기자 @Redswanny> swan@heraldcorp.com


F세대의 중심이자 국내 단일 연령 최다 인구인 1970년생은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될때 태어났다. 물류의 대동맥이 완성된다는 것은 제조업이 살아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경제성장의 과실이 하나 둘 영글어갈때 그들은 태어났지만...<헤럴드미디어 디지털DB>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길도 넓히고, 푸른 동산 만들어 알뜰살뜰 가꾸세”...살기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가꾸는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경제회생의 활력소였다. 돈을 벌기 위한 부모님의 땀흘리는 모습, 민주화를 향한 형,누나들의 거리시위와 희생을 보고 자란 F세대는 청년기에 결국 고도성장의 부작용에 따른 아픔을 온몸으로 뒤집에 쓰는데... <헤럴드미디어 디지털DB>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